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Baseball-in-Play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Baseball-in-Play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99)
    • 칼럼-베이스볼인플레이 (41)
    • 트윈스spot (38)
    • ANALYSIS (65)
    • 세이버메트릭스 도서관 (34)
    • 이슈InPlay (45)
    • KBOstats 실험 (49)
    • 토아일당Notes (12)
    • 통계와 자료 (14)
    • 초대 (0)
  • 방명록

전체 글 (299)
어떤 야구팬의 10살 기억

2018.8.22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toa.united/posts/2076518729326255 [실험실]에 소개된 어떤 글을 보니 어느 팀이든 우승년도에 8살이었던 팬들의 비중이 가장 컸다고 한다. 8살... 다만 야구가 national pastime이라는 미국 이야기이고 한국에는 오차범위가 좀 있다고 치자. 내 기억의 첫번째 본격 야구는 10살 즈음이다. 여름방학 때 해마다 그랬던 것처럼 시골 할아버지댁에 갔고 아버지는 늘 그랬던 것처럼 시골방을 하루종일 구르며 낮잠과 TV보기를 번갈아 하셨다. 그때 봉황기 고교야구대회를 봤다. "저게 뭐지?"는 물론 아니었다. 동네꼬마들이 함께 얼려놀던 이래 야구는 스포츠이기 앞서 "모두의 공놀이"였었다. 내 집에 글러브도 배트도..

토아일당Notes 2019. 8. 22. 15:19
라루사이즘과 집단마무리, KBO

"라루사이즘과 집단마무리" [고정마무리]가 좋으냐 아니냐는 재미있는 논제입니다. 선발-구원투수의 분업화는 꽤 오래된 것에 비해 고정마무리 시스템은 88년 오클랜드가 시작이니까 역사가 짧습니다. 토미 라루사 감독의 작품이라 해서 이걸 라루사이즘이라고도 합니다. 라루사이즘의 핵심은 1. "불펜 넘버1 투수"가 2. 기본적으로 "이기는 경기"의 "마지막 한이닝"을 전담한다. 입니다. 대략 요즘 야구의 상식이기도 한데요. 빌제임스가 여기 이의제기를 했습니다. 불펜에이스를 이기는 경기 마지막 이닝에만 쓰는건 비효율적이다. 라고 했죠. 이유는 1. 3점 세이브 상황은 실은 별로 위험하지 않기 때문에 이럴때 불펜에이스를 쓰는건 낭비다. 2. 7회나 8회 1점차에서 뒤집어지면 불펜에이스를 써먹을 기회조차 없다 3. 이..

토아일당Notes 2019. 8. 15. 16:20
19년 투고는 [반발력]이 아니라 [항력] 의 문제

리그 [타고완화]는 [▲반발력]이 아니라 [(공기저항변화에 따른 ▲비거리]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유가 뭐든 득점이 줄었고, 타율이 낮아졌고 홈런이 감소했습니다. 대체로 [공인구 반발력 변화]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타구추적데이터로 보면 약간 다른 양상이 나타납니다. 공의 반발력이 줄어서 득점이 줄어든거라면 --- 타구속도감소가 나타나는게 제일 알기쉬운 지표일텐데, 18년에 비하면 0.8kmh 느려졌지만 17년에 비하면 오히려 1kmh 더 빨라졌습니다. 17시즌의 타고성향도 18시즌만큼 뜨거웠던 것을 고려한다면 --- 적어도 19시즌이 리그평균 타구속도는 득점감소, 타율하락, 홈런감소를 설명하지 못합니다. 생각해볼 수 있는 또다른 가설은 타구각의 비효율성입니다. 같은 속도의 타구라도 너무 띄우거나 아..

ANALYSIS 2019. 8. 6. 16:40
로봇심판, 기계판정 실험 - 아틀란틱리그

MLB가 지원하는 아틀락틱리그의 실험이 생각보다 속도를 냈다. 지난 7월11일 올스타게임에서 트랙맨시스템을 이용한 완전한 기계판정이 실행되었다. 유튜브 등을 통해 전해진 영상을 본 후 반응의 주류는 "뭐야. 기계가 완전 정확하게 하는거 아니었어? 사람보다 잘하는거 맞아?" 쯤. 당연하다. 애당초 기계판정에 대한 과한 기대가 잘못된 것이다. 근데, 왜 이상해보이냐, 왜 잘 못하느냐를 따져보면 의미있는 맥락이 있다. 기계가 투수가 던진 공을 추적하는 능력은, 실제로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 만큼은 아닐지몰라도 --- 꽤 정확하다. 물론 모든 기계가 다 그렇듯 사람의 손길이 필요하다. 온도에 따라 습도에 따라 경기장 조건에 따라 park-to-park, day-by-day 캘리브레이션 같은게 많이 영향을 준다. ..

이슈InPlay 2019. 8. 5. 11:01
한선태의 퓨처스 20이닝

25살 짜리 프로 1년차 투수의 퓨처스리그 성적이 다음과 같다. 16경기 20이닝 ERA0.450 SO9 8.1 BB9 1.8 H9 6.75 HR9 0.0 아직 20이닝 뿐이지만 꽤 좋은 성적이다. 1군에서 잘던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지켜볼만한 유망주라 해서 이상할 것은 없다. 그런데 이 투수는 변화구에 서툴다고 한다. 그렇다면 속구만 가지고 저 성적을 냈다는 뜻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정보를 종합했을 때 어떤 평가를 내리는게 합리적일까. 1) 경기경험도 별로 없는 1년 투수가 속구만 갖고 저정도 성적을 냈으니 어마어마한 포텐을 갖고 있다. 2) 구종이 단조롭고 1군기록이 아니기 때문에 저 성적은 아무 의미가 없다. 그저 미지수일 뿐이다. 일단 한선태 사례에서는 1번보다 2번에 가깝다. 그가 비선출이 아..

토아일당Notes 2019. 8. 1. 22:32
AI, 오픈소스 - 세이버메트릭스가 세상을 먹어치운 비결

[뻘글] 손정의 회장이 문재인대통령을 만나 했다는 조언이 흥미로웠다. 3가지. AI, AI, AI 그가 한국대통령에게 조언을 한 것이 처음이 아니다. (이번에 안 일이지만) 97년 금융위기 직후인 98년 김대중대통령을 만나 --- 미래의 먹거리에 대해 3가지를 이야기했다고 한다. 그 셋이 브로드밴드, 브로드밴드, 브로드밴드. 그것 하나만으로 모든게 설명될리는 없지만 어쨌든 --- 그 브로드밴드(초고속인터넷망)는 한국의 IT산업, 좀더 넓게 보면, 온라인게임, 대중음악, 웹툰 등 컨텐츠산업 전체에 강력한 이니셔티브가 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이번에 AI, AI, AI. 의.미.심.장. 그런데 AI를 어떻게 활성화하지? 브로드밴드는 어떻게 하는지 대략 각이 나온다. 땅 파고 전신주 세우고 선로 깐다. 연결..

토아일당Notes 2019. 7. 23. 20:24
폭투가 두려워 떨공을 꺼리면, 그건 야구가 아니지.

[끝내기 폭투]란 야구팬의 악몽이다. 차라리 홈런을 맞으면 상대가 잘쳤거니 하겠는데 똥꼬 힘주고 어렵사리 버티는 와중에 그 허무함을 어찌하냐고. 하지만 그렇다고 [끝내기 폭투]에 대해 "이게 야구냐, 니들이 프로냐, 기본이 안되었다" 쯤으로 비평하는것도 좀 아닌거 같다. 일단 끝내기 폭투.를 방지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존 한복판에 165kmh 짜리 라이징패스트볼을 꽂아넣으면 된다. (혹시 공이 너무 빨라서 한가운데 스트라이크를 포수가 못잡으면 그건... 이게 야구냐, 니들이 프로냐 욕먹어도 할말 없겠고) 2. 투수가 무슨 공을 던져도 포수가 전부 잡아버리면 된다. 헌데, 이건 마치 --- 승부처의 투수에게 자, 170kmh 를 인하이 구석에 꽂아버려.라고 말하는거랑 비슷하다. 틀린 말은 아닌데 ..

토아일당Notes 2019. 7. 22. 21:31
이전 1 2 3 4 5 ··· 43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축구에서 홈어드밴티지 평가 - 도박사의 승부예측은⋯
  • 원정팀 과대평가 - 도박사의 승부예측은 얼마나 ⋯
  • 도박사는 약팀을 좋아해 - 도박사의 승부예측은 얼⋯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